- 1차적으로 소각가능한 세정제(예: 에틸알콜)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 발생된 폐액을
유기폐액 용기에 수거한다(소각처리 대상)
- 2차적으로는 물로써 세척하여 무기폐액 용기에 수거한다.
* 이때 무기폐액의 방사능포함여부에 따라 자체처분 또는 위탁폐기여부를 결정한다.
⑤ 실험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정액, 실험용매 등으로서 유기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폐
액은 무기폐액으로 인도한다.
⑥ 강산 및 강알칼리를 포함한 무기폐액은 중화시킨다.
⑦ 폐액수거시 폐액용기에 고형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폐액용기 입구에 그물망(mesh)을
설치하여 수거한다.
⑧ 슬러지, 점성물질등은 폐액에 혼입되지 않도록 하고 슬러지 등이 들어있는 폐액은 건
조시켜서 비압축성으로 분류하여 폐기의뢰한다.
나) Hot Sink
Hot Sink 아래에는 3단 Batch type의 희석저류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반감기 핵종 실험
기기 세척, 세 번째 세척수, 오염된 손 세척시 사용한다.
나. 방사성폐기물 포장
1) 가연성, 비가연성 폐기물
가) 분류기준에 따라 소포장하여 비닐끈으로 묶는다.
나) 소포장된 폐기물을 50ℓ용 비닐봉투에 담고 비닐끈으로 묶는다.
다) 50ℓ용 비닐봉투 표면에서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방사능꼬리표(폐기물의 품명, 주요핵
종, 표면선량률, 취급책임자, 발생기관, 폐기일자를 기입)에 기재하고 꼬리표를 비닐봉투에
묶는다.
라) 100ℓ 철재드럼에 대포장 비닐(100ℓ용)을 넣고 50ℓ용으로 소포장된 비닐봉투 2개 내지
3개를 넣은 후 끈으로 묶고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방사능꼬리표에 기재하고 비닐봉투에
묶는다.
마) 100ℓ 철재드럼 표면에서의 오염검사와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방사능스티커(표면선량률,
종류, 양, 폐기일시, 취급책임자, 발생기관을 기입)에 기재 하고 방사능표지 스티커를 드럼
표면에 표시된 일련번호(C-○○○○)의 왼쪽에 반듯하게 부착한다.
바) 동위원소폐기물 기록표에 기재한 용기번호를 방사능표지 우측상단에 기재한다.
2) 액체 폐기물
가) 표준용기의 80% 정도까지만 폐액을 채운다.
나) 운반 중 누설이 없도록 마개를 힘껏 돌려서 잠근다.
다) 용기표면에서의 오염여부를 검사하고 표면선량률을 측정한 후 방사능꼬리표(폐기물
의 품명, 주요핵종, 표면선량률, 취급책임자, 발생기관, 폐기일자를 기입)에 기재한다.
라) 마개 반대편 옆면에 반듯하게 방사능스티커(표면선량률, 종류, 양, 폐기일시, 취급책
임자, 발생기관을 기입)를 부착한다.
마) 50ℓ용 비닐 두 장을 겹쳐서 폐액이 담긴 용기를 넣고 비닐끈으로 묶는다.
바) 외용기(50ℓ철제드럼)에 넣은 후 뚜껑을 닫는다.
3) 밀봉선원 폐기물
가) 포장용기 표면에서의 선량율은 50mR/h 미만이 되도록 차폐한다.
나) 포장용기의 하중이 50킬로그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인 취급이 용이한 형태로 제
작하고 시건장치를 한다.
다) 포장용기의 외부는 노란색 도색을 하고 방사능표지를 부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