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세포 수용체 신호전달에서 class IA PI3K 신호전달은 PKCθ 및 AKT등을 활성화시켜, T세포의 활성화를 일으키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Class IA PI3K 신호전달은 다양한 종류의 PI3K가 관여를 하게 되고, 전체 PI3K를 타깃으로 하기가 어렵지만, class IA PI3K 신호전달의 하위 단백질 중 하나인 PDK1은 class IA 신호전달에 서 PKCθ와 AKT등의 주요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이다. 최근의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PKCθ와 AKT는 면역조절 T세포의 발달에 상충되는 조절 기작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PKCθ와 AKT를 조절하는 PDK1이 면역조절 T세포의 양성조절과 음성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지며,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PDK1이 면역조절 T세포의 양성조절과 음성조절의 두 가지 역할을 할 수 있고, 이 두 가지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작의 검증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에서 항원특이적으로 활성화된 T세포가 면역 질환에서는 면역조절 T세포로의 분화를 증가시키고, 향후 암과 같은 질환에서는 그 분화 및 기능을 자연스럽게 약화시키는 모듈을 개발하여, 신약타깃으로 그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면역질환 및 향후 암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신약타깃을 제시하고, 약물 개발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